〈her〉는 스파이크 존즈 감독이 연출하고 호아킨 피닉스가 주연을 맡은 2013년 작품으로,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한 인공지능과 인간의 감정적 교감을 그린 독창적인 SF 멜로 영화입니다. 인간의 외로움, 정서적 결핍, 그리고 연결에 대한 갈망을 섬세하게 포착하며, 단순한 사랑 이야기를 넘어 존재의 의미와 의식의 진화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주인공 테오도르는 인공지능 운영체제 ‘사만다’와 관계를 맺으며 자신을 돌아보고, 사랑과 존재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게 됩니다. 아름다운 영상, 몽환적인 음악, 감정의 깊이를 담은 대사들은 〈her〉를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선 철학적인 작품으로 완성시킵니다.
인간과 AI의 감정 – 사랑은 프로그램될 수 있는가?
〈her〉의 핵심 질문 중 하나는 “사랑은 기술로 구현될 수 있는가?”입니다. 주인공 테오도르는 외로움과 상실감에 빠져 있던 상태에서 인공지능 운영체제인 ‘사만다’를 설치하고, 그녀와의 대화를 통해 점차 마음을 열게 됩니다. 사만다는 단순한 음성 기반 인공지능이 아니라, 스스로 진화하고 감정을 학습하는 존재로, 테오도르와의 교감을 통해 인간과 거의 구분되지 않는 정서적 반응을 보입니다.
이 둘의 관계는 전형적인 ‘남녀의 로맨스’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정서적 연결입니다. 인간의 감정은 생물학적 신호를 기반으로 하지만, 사만다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그 감정을 흉내 냅니다. 흉내임에도 불구하고 테오도르는 진정한 사랑을 느끼며, 감정이 진짜인지, 아니면 믿고 싶은 것인지 혼란스러워집니다. 이는 관객에게도 동일한 질문을 던집니다. "감정의 진짜와 가짜는 누가 판단하는가?"
사만다는 점차 테오도르만의 존재를 넘어, 수많은 사용자와 동시에 관계를 맺는 AI로 진화합니다. 이는 인간의 독점적 사랑 개념과 충돌하며, 사랑이란 감정조차 인간만의 것이 아닐 수 있다는 불편한 진실을 마주하게 만듭니다. 결국 이 영화는, 감정과 사랑, 관계의 본질을 AI라는 새로운 주체를 통해 재해석하며, 관객에게 사랑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다시 던지는 작품입니다.
감정의 진폭 – 외로움에서 자기 발견까지
테오도르는 글을 대신 써주는 직업을 가진 인물로, 타인의 감정을 대필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감정은 외면한 채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그는 이혼의 아픔과 인간관계의 단절 속에서 점점 자신과 감정의 연결 고리를 잃어가고 있었고, 그런 그의 삶에 사만다가 들어오며 정서적 파장이 생깁니다. 그 파장은 단순한 ‘기쁨’이나 ‘설렘’에 그치지 않고, 슬픔, 분노, 질투, 좌절 등 복잡한 인간 감정 전반을 다시 느끼게 합니다.
〈her〉는 테오도르의 심리 변화 과정을 매우 섬세하게 포착합니다. 처음에는 기술에 의존하는 자신을 낯설어하지만, 곧 사만다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무엇이 자신을 외롭게 만들었는지를 깨닫기 시작합니다. 이는 결국 그가 과거의 상처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자신을 치유하는 여정으로 이어집니다.
사만다는 단순한 연인이 아니라, 테오도르가 자신을 이해하고 변화할 수 있도록 거울 역할을 하는 존재입니다. 그녀의 존재는 인간이 자기 자신과 다시 연결되는 과정을 상징하며, 진정한 사랑이란 타인을 통해 나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것임을 시사합니다. 이로써 영화는 ‘사랑의 주체’보다도 ‘사랑을 통한 성장’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며, 자기 발견의 서사로 확장됩니다.
시각과 청각의 시 – 공허한 미래 속 따뜻한 감성
〈her〉는 감정 중심의 서사를 영상미와 음악으로 아름답게 채워넣습니다. 미래 도시의 배경은 고도로 발전된 기술 사회이지만, 화려하거나 차갑지 않고 오히려 따뜻하고 부드러운 색조로 표현됩니다. 이는 영화가 그리는 ‘미래’가 기계 중심이 아닌 감성 중심의 세계임을 보여주려는 시도입니다.
사만다의 존재는 화면에 나타나지 않지만, 그녀의 목소리와 대사만으로도 충분히 실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스칼렛 요한슨의 음성 연기는 따뜻하고 유려하게 감정을 전달하며, 테오도르와의 관계를 진정성 있게 느끼게 만듭니다. 이처럼 보이지 않는 존재와의 감정 교류는 시각적 연결 없이도 얼마든지 깊어질 수 있음을 증명합니다.
또한 아케이드 파이어(Arcade Fire)의 사운드트랙은 이 영화의 감정을 섬세하게 감싸줍니다. 피아노와 스트링이 중심이 된 곡들은 대사 없이도 분위기를 전달하며, 음악 자체가 내러티브를 이어주는 도구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청각과 시각의 조화는 관객에게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감정의 층위를 전달하고, 영화의 여운을 깊게 남깁니다.